제주 이도주공 1단지(포스코 더샾) 재건축 평면도 살펴보기

 현시점 제주 부동산에서 가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곳은 이도주공 재건축 입니다. 이도주공 1단지는 지난 22년 12월 27일 건축계획 심의를 통과 했습니다. 재건축 완성을 위한 6부능선은 넘은셈 입니다. 이제 사업시행인가를 위해 도면 및 배치도 준비를 거쳐 조합원분양까지 마지막 단계만 남았습니다. 제주 이도주공 1단지(포스코 더샾) 재건축 아파트 평면도  얼마전 조합원 밴드에 평면도 사진이 올라왔다고 합니다. 59타입, 64타입, 84타입(4종류), 102타입, 118타입(2종류), 130타입, 167타입 총 11종류의 평면도 가 공개 됐습니다. 이도주공 1단지 59타입 평면도   공급 24평형이며,  총 49세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도주공 1단지 64타입 평면도 공급 26평형이며,  총 78세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도주공 1단지 84타입 평면도 국민평형 84타입은 84A TYPE(57세대), 84B TYPE(258세대), 84B-1 TYPE(25세대), 84C TYPE(120세대) 총 4가지 타입, 460세대로 이도주공 1단지 재건축에서 가장 많은 세대비율을 가진 평형 입니다. 84A TYPE(57세대) 84B TYPE(258세대) 84B-1 TYPE(25세대) 84C TYPE(120세대) 이도주공 1단지 102타입 평면도 공급 41평형이며  총 149세대로 구성되어 있고 가장 인기가 많을것으로 예상되는 평형 입니다. 이도주공 1단지 118타입 평면도 공급 47평형이며,  118타입은 A타입(91세대)과 B타입(50세대) 총 141세대, 2가지 타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A타입(91세대) B타입(50세대) 이도주공 1단지 130 P 타입 및 167 P 타입 평면도 공급 56평형 평면도와 공급 67평형 평면도 입니다. 큰평수인 만큼 테라스를 갖춘게 특징 입니다.

연말정산 소득공제 되는 제주도 전통시장은 어디?

이미지
 13월의 월급 연말정산 시즌이오면 소득공제를 얼마나 받을수 있을까 다양한 정보를 찾아보고 공부 합니다. 이중에서 가장 기본으로 챙겨야하는 목록은 '소비' 입니다. 신용카드, 직불카드, 현금영수증, 전통시장, 도서 및 공연비, 대중교통 등 1년 동안 소비한 금액중 일부를 소득공제해주기 때문 입니다.  대부분은 직불카드(체크카드) & 현금영수증을 주로 사용하고 신용카드 사용을 줄이면 소득공제에서 유리하다고 합니다. 이것은 지불방식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소득공제율을 달리 해주는것 입니다. 신용카드는 15%를 공제해주고 직불카드(체크카드) 및 현금영수증은 30%를 해줍니다. 지불방식에 추가로 어디서 구매 했는지에 따라 추가공제가 가능 합니다. 그것은 바로 '전통시장' 입니다. 국세청은 전통시장에서 구매한 금액에 대해서 추가로 공제한도 100만원의 소득공제 혜택을 줍니다. 이것은 지불방식과는 상관없이 국세청 홈텍스에 전통시장으로 등록된곳에서 결제를하면 소득공제 내역에 잡힙니다. 제주시 소재 전통시장  국세청 홈텍스에 등록된 제주시 소재 전통시장은 어디어디 있을까요? 대부분 동문시장과 오일장을 떠올리실텐데요. 제주시에 대표 전통시장인 동문시장과 오일장 말고도 많은 시장들이 있습니다. 동문시장 대유대림상가 도남시장 동문수산시장 동문재래시장 보성시장 서문공설시장 성지유니코 세화오일시장 신산시장 연동시장 제주시민속오일장 중앙로상점가 중앙로지하상가 칠성로상점가 한림매일시장 한림오일시장 함덕오일시장 화북종합시장 동문시장과 오일장들을 제외하고 중앙로 상점가와 칠성로상점가가 전통시장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위에 등록된 전통시장 매장에서 물건을 구매하시면 전통시장 추가 소득공제로 100만원을 더 받으실수 있습니다.  전통시장 소비금액 추가 공제 계산하기 예를들어 1년 총 근로소득이 4천만원 이라고 가정해서 계산해보겠습니다. 신용카드 사용금액 1,000만원 + 직불카드 사용금액 500만원 + 현금영수증 사용금액 500만원 + 전통시장...

제주시 재건축 완료된 아파트는 어디?

이미지
 제주도청은 제주도내 재건축, 재개발, 주거환경정비사업 등에 대한 내용을 담은 '2030 제주특별자치도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을 발표 했습니다. 이번 발표에서는 총 33곳의 아파트가 재건축 예정구역으로 확정 됐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과거 제주도에서 시행된 재건축 아파트들은 어떤곳들이 있고 재건축까지 얼마의 기간이 소요 됐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1. 도남 주공연립 재건축 -> 도남 해모로 리치힐 첫번째로 도남 주공연립이 재건축되어 '도남 해모로 리치힐'로 재탄생 했습니다. 도남 해모로 리치힐은 전면 지하주차장으로 단지내 지상에는 차량이 없는 아파트로 유명 합니다. 지하주차장 여건이 열악한 제주에서는 매력적인 포인트 입니다. 2. 노형 국민연립주택 재건축 -> 노형 해모로 루엔 두번째로는 노형 국민연립주택이 재건축된 '노형 해모로 루엔' 입니다. 제주시 재건축 아파트 첫번째와 두번째 모두 한진중공업에서 만든 브랜드인 해모로에서 진행을 했습니다. 노형 해모로 루엔은 제주시 학군의 중심인 노형에 위치하여 입지 조건이 상당히 좋은곳 입니다. 3. 고려, 대지 연립주택 재건축 -> 연동 백강 스위트엠 세번째로 완료된 재건축 아파트는 고려, 대지 연립주택을 재건축한 '연동 백강 스위트엠' 입니다. 백강 스위트엠의 위치는 노형 해모로 루엔 맞은편으로 이곳 또한 입지조건은 최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단점은 나홀로 아파트인점 입니다.